인류가 연꽃을 재배한 것은 약 3천 년 전으로 추정되는데 초기에는 씨앗을 식용할 목적 때문이다. 아시아 지역의 연꽃은 불교 및 힌두교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뿐 아니라 동양 사상과도 관계가 있다.
연꽃과 관련된 다양한 화석들, 그리고 중국의 어느 호수에서 벌견된 1,300년 된 연꽃 씨앗이 발아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연꽃은 백악기 때부터 존재한 식물로 추정된다.
연꽃의 뿌리를 연근이라고 부른다. 연근 100g 당 열량은 67Kcal , 탄수화물16g, 지방 0.07g, 단백질 2g, 식이섬유 2.3g, 비타민 B1, B2, B3, B5, B 6, B9, C, E, 콜린, 칼슘, 인, 철분, 아연, 뮤신, 수분81g 이 함유되어 있다.
연근은 해독, 위장병, 감기, 심장병 예방에 효능이 있고 당뇨, 정신불안, 비만, 저혈당, 항산화, 흡연에 의한 니코틴 해독에도 좋다. 연꽃의 잎은 혈뇨, 꽃은 설사,콜레라, 해열, 종자는 심장을 튼튼하게 해 주고 면역력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고혈압, 당뇨, 담석을 예방하는 성분이 있다.
연근은 엿과 간장으로 연근조림을 만들거나 튀김, 볶음, 스프, 연근 차로 섭취할 수 있다.
연근의 주성분은 전분이다. 덜 익은 생감자와 비슷한 맛이다. 스프의 맛은 미세하게 무우 맛과 생감자 맛이 나지만 잘 익히면 단아하고 담백하다. 조리된 스프에 후추를 뿌리면 상당히 맛있다.
연근의 단아하고 담백한 맛을 살리기 위해 감자나 양배추 대신 팽이버섯을 넣는다. 연근이 익지 않을 경우 생감자 맛이 나므로 연근을 충분히 익혀야 한다.
*연근 스프 레시피
프라이팬에 버터를 녹인 뒤 양파와 마늘을 볶다가 연근, 팽이버섯을 순서대로 넣으면서 타지 않게 살짝 볶는다.(죽을 조리할 때는 재료를 볶지 않는다.)
살짝 볶은 것에 물을 넣고 재료가 완전히 익을 때까지 끓인다.
위의 데친 재료를 한꺼번에 넣고 믹서나 핸드 블랜더로 1분 이상 분쇄한다.
(죽을 만들려면 밥 1공기를 별도로 준비한다.)
갈아낸 재료 전부를 냄비에 넣은 뒤 끓인다. 물에 탄 전분과 휘핑크림을 넣고 소금으로 살짝 간한다.
(죽으로 조리할 때는 전분과 휘핑크림 대신 밥과 참기름을 넣고 끓인다.)
스프가 걸죽하면 물을 보충하면서 농도를 조절한다. 끓여낸 스프를 그릇에 담아낸 후 파슬리 가루와 후추를 뿌린다.